STUDY_SEONMIN

p-value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본문

STUDY/통계 & 수학

p-value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Kululu_ 2021. 7. 7. 23:04

누군가가 "p-value라는 개념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어떻게 답해야할지 고민을 해봤습니다.

학문적인 개념에 기반해서 "p-value란 귀무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실험을 통해 얻어진 관찰값 또는 그 보다 더 희귀한 값이 나올 확률입니다."라고 답을 해야 하나??

"그럼 그 확률은 어떤 의미를 갖습니까?"라고 묻는다면 "그 확률값이 유의수준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귀무가설의 기각 여부가 결정됩니다. 유의수준보다 확률값이 작다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그렇지 않다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않습니다" 라고 답을 해야 하나??

이런 대답은 정말 순수하게 학문적인 관점에서 하는 답변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블로그들을 돌아보다 이런 질문을 만났습니다.
"당신이 맡은 프로젝트를 고객에게 설명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당신은 고객에게 p-value를 어떻게 설명할 건가요?"

저런 질문 앞에서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답변을 한다면 고객이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상 아무런 말도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설명해야할까요? 저는 "고객의 언어"를 사용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케팅 컨설턴트로서 서로 다른 두 광고의 효과를 확인하는 작업을 맡았고 CTR이 각각 40%, 60%가 나온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이 p-value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두 광고의 효과를 비교했을 때 B광고안이 A광고안 보다 더 효과가 좋다고 나타났습니다. p-value는 이 결과를 정말 믿어도 될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value가 0.05보다 작으면 결과를 믿고 B광고안으로 진행하시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실제로 광고 효과에서 차이가 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일반화 시켜본다면 고객에게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테스트를 진행하고 원하는 결과가 나왔을 때 이 결과를 믿어도 될지를 판단하는 지표가 p-value입니다."

'STUDY > 통계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성분 분석 (PCA)  (0) 2021.07.2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