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_SEONMIN
SQLD 시험 후기 본문
시험일 : 2021.05.29
성적공고일 : 2021.06.25
시험결과 : 86/100, 합격
공부를 시작한 계기
나는 원래 SQLD 자격증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자격증이 있다고 해서 SQL을 잘 다룰 줄 아는 것이 아니기도 하고 각종 후기를 읽어보면 짧게는 3~4일만에도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SQLD 공부를 시작한 이유는 "내가 데이터분석가가 되기 위해서 SQL을 공부했다"라는 사실을 증명할 자료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실 공부를 시작하기 전 딱히 어떤 지식을 얻는 것에 대한 기대는 전혀 하지 않고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를 하면서
사람들이 많이들 사용하는 노랭이(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 타 블로그에 정리된 자료를 이용해 공부를 했다. 시작 전에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가 작동하는 원리, 데이터모델링 하는 방법, 각종 SQL 문법 등 알아두면 도움이 될 만한 지식들이 많이 담겨있었다.
약 2주라는 기간동안 공부를 진행했는데 내가 가진 교재와 자료를 총 2회독 하였다. 처음 읽을 때에는 모르는 용어들도 많이 등장해서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았지만 2회차에서는 내용들간의 연결고리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어 어려움은 없었다.
SQL문법을 공부할 때 가장 도움이 되었던 방법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쿼리를 직접 작성해보는 방법이었다. 쿼리를 직접 만들어보면 잘 잊어버리지 않을뿐더러 한 번에 완벽한 쿼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쿼리가 작동되는 방식, 순서(?)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시험이 끝나고
시험이 끝난 현재도 SQL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공부를 이어나가고 있다. 패스트캠퍼스에서 SQL 관련된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데 SQLD 자격증 공부할 때 알게 된 내용들 뿐만 아니라 현업에서 어떤 형태로 쿼리를 많이 작성하는지도 배울 수 있어 만족하고 있다.
자격증 취득을 고민하는 분들께
SQLD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해서 SQL을 잘 다루는구나라고 인정받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SQL을 공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 자격증인 것 같습니다. 실제로 공부를 하면 SQL문법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작동원리나 데이터모델링 등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마다 공부하는 스타일은 다르겠지만 정말 단순히 자격증만 따려는 목적이시라면 노랭이 책만 풀고 가셔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고, 그게 아니라면 이론서도 구매해서 같이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TUDY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DIAN 찾기 (0) | 2021.07.22 |
---|---|
HackerRank SQL - Occupations (0) | 2021.07.20 |
SELECT FROM tables (0) | 2021.04.19 |
SELF JOIN (0) | 2021.04.17 |
집계함수의 사용 (0) | 2021.04.16 |